반응형 부동산생활68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제도, 신고 주택 지역 금액 과태료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제도, 신고 주택 지역 금액 과태료 2021.6.1.부터 주택임대차 계약신고를 반드시 하도록 법이 개정되었습니다. 미신고 또는 거짓신고 시 100만 원 이하 과태료가 부과되니 꼭 신고하시기 바랍니다. 1. 주택 임대차 계약의 신고란? 주택 임대차 계약(신규·갱신, 변경, 해제) 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에 계약 당사자가 임대기간, 임대료 등 계약 주요 내용을 신고하도록 의무화한 제도 ※ 신고유형 ① 신규·갱신신고 : 모든 신규계약 + 임대료 변동이 있는 갱신계약 ② 변경신고 : 계약체결된 신고건의 임대기간 중 임대료 변경 건 ③ 해제신고 : 계약체결된 신고건의 임대기간 개시 전 해제 건 2. 주택 임대차 계약의 신고 주요내용 1. 신고의무 임대인 + 임차인 모두 계약체결일로부터 30일.. 2022. 4. 10. 주택전세자금대출 버팀목전세자금 대출 대상 금리 한도, 신청방법 및 필요 서류 주택전세자금대출 버팀목전세자금 대출 조건 금리 한도, 신청방법 및 필요 서류 1. 버팀목전세자금이란? 근로자 및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한 전세자금 대출 2. 대출 조건 1. 대출 대상 : ①+②+③ 모두 충족시 ①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② 순자산액 3.25억 원 이하 ③ 무주택 세대주 2. 대출 금리 : 연 1.8~2.4% 3. 대출 한도 수도권 1.2억 원 수도권 외 0.8억 원 이내 4. 대출 기간 : 2년 4회 연장, 최장 10년 이용 가능 5. 상환 방법 : 일시상환 또는 혼합상환 6. 보증 종류별 안내 3. 필요 서류 1) 본인확인 : 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 중 택1 2) 대상자확인 : 주민등록등본 - 합가기간 확인 등 필요시 주민등록초본 - 단독세대주 또는 배우자 분리세대 : .. 2022. 4. 9.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조건 한도 금리, 보증 종류(HUG, HF), 신청 방법 및 필요 서류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조건 한도 금리, 보증 종류(HUG, HF), 신청 방법 및 필요 서류 1.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이란?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들에게 저리의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월세 보증금을 대출해주는 것입니다. 2. 대출 조건 1. 대출 대상 ①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3.25억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(예비 세대주 포함) ※ 외벌이 : 3천5백만 원 이하 ② 중소·중소·중견기업 재직자 또는 중소기업 진흥공단,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보증기금의 청년창업 지원을 받고 있는 자 ③ 만 19세 이상 ~ 만 34세 이하 청년 ※ 만 19세 이상 ~ 만 34세 이하 청년의 범위 만 19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 맞이한 미성년자 포함, 병역의무를 이행한 경우 복.. 2022. 4. 8. 등기부등본 무료 열람 발급 사이트(닥집, 집파인, 아실) 소개 및 인터넷 발급 방법 등기부등본 무료 열람 발급 사이트(닥집, 집파인, 아실) 소개 및 인터넷 발급 방법 매매, 경매 등 부동산 거래 및 권리관계 확인 시 등기부등본이 필요한데 일반적으로 대법원 인터넷 등기소를 이용합니다. 대법원 인터넷 등기소 이용 시 비용이 발생하는데 열람은 700원, 발급은 1,000원입니다. 기본적인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 무료등기부등본 열람 가능한 사이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: 유료 1. 수수료 열람용 700원, 발급용 1,000원 2. 발급절차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접속 → 부동산 등기 → 열람하기 3. 법적 효력 - 열람용 : 법적 효력 없음 - 발급용 : 법적 효력 있음 ※ 관공서 제출 시 발급용 제출 닥집(DOCZIP) 사이트 : 무료 1. 수수료 무료(주 1회만 열람) 2.. 2022. 1. 31. 부동산 아파트·주택 매매(매도,매수) 계약서 작성시 일반 특약 및 상황별 특약 부동산 아파트·주택 매매(매도, 매수) 계약서 작성 시 일반 특약 및 상황별 특약 매매 시 일반적인 특약사항 1. 현 시설 상태에서의 매매 계약이며, 등기사항 증명서를 확인하고 계약을 체결한다 - 현재 집에 파손, 고장, 곰팡이 등 경미한 하자가 있는 경우에 매도인은 배상책임이 없음 2. 누수와 같은 중대한 하자는 매도인이 수리해준다. - 경미한 하자가 아닌 중대한 하자의 경우 매도인은 배상책임이 있음 3. 잔금 시 제세공과금 및 기타 관리금은 매도자 부담으로 한다. - 잔금 전 미리 입주하거나 인테리어 공사를 시작했다면 매수자가 관리비를 부담하는 것이 관례 - 잔금일까지 발생하게 될 제세공과금은 잔금일 기준으로 정산하며, 매도인이 완납하기로 함 4. 잔금일 또는 본 부동산 인도일은 합의 하에 조절 가능.. 2022. 1. 30. 상가 양도소득세 개정 및 양도소득세 계산, 용도 변경 후 양도 시 문제점 상가 양도소득세 개정 및 양도소득세 계산 고가 겸용 주택의 주택과 주택 외 부분 과세 합리화(소득세법 시행령 제160조) 1. 개정취지 양도가액이 12억 원을 초과하는 고가의 상가주택에 대해 주택 면적이 넓어도 상가 면적 부분은 상가로 과세하는 게 합리적 ※ 12억원 이하 상가 주택의 경우 현행 규정대로 주택면적이 클 경우 전체를 주택으로 봄 2. 개정내용 ※ 겸용 주택 : 하나의 건물이 주택+주택 외 부분으로 복합된 것 3. 적용시기 및 적용례 2022.1.1. 이후 양도하는 분부터 적용 상가 양도소득세 계산 예시) 상가주택 양도세(2022년 이후 양도분) 1. 취득가액 : 6억 원 2. 양도가액 : 16억 원 3. 면적 비율 : 주택 70%, 상가 30% 4. 1세대 1 주택자, 10년 보유 및 거주.. 2022. 1. 14. 이전 1 ··· 8 9 10 11 12 다음 320x100 반응형